Scalability (확장성)
- Scalability : 애플리케이션 또는 시스템이 더 큰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. 이를 통해 시스템은 수요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.
- Vertical Scaling(수직 확장)
- 인스턴스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확장.
- 예: t2.nano(0.5GB RAM, 1 vCPU)에서 u-12tb1.metal(12.3TB RAM, 448 vCPU)로 확장.
- 주로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비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됨.
- RDS, ElastiCache 같은 서비스는 수직 확장을 지원함.
- 단점: 하드웨어 제한으로 인해 무한한 확장은 불가능.
- Horizontal Scaling(수평 확장)
- 인스턴스 또는 시스템의 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확장.
- Auto Scaling Group과 Load Balancer를 통해 다수의 인스턴스를 관리하며 확장.
- 분산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며,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흔히 사용됨.
- 클라우드 환경에서 쉽게 구현 가능, 예: Amazon EC2.
High Availability (고가용성)
- High Availability(HA) :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가용 영역(AZ)에 걸쳐 실행되며, 데이터 센터 손실과 같은 장애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.
- 고가용성의 목표 : 한 데이터 센터의 장애에도 시스템이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.
- 수동 고가용성: 예를 들어 RDS Multi-AZ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복제본을 유지하여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.
- 능동 고가용성: 여러 AZ에 걸친 수평 확장으로, 한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영역에서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.
- 주요 구성 요소
- Auto Scaling Group: 여러 가용 영역(AZ)에 걸쳐 인스턴스를 실행하여 고가용성을 확보.
- Load Balancer: 다중 AZ에 걸친 트래픽 분산을 통해 가용성 보장.
'Cloud > AWS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C2 인스턴스 스토리지 - AMI, EC2 Instance Store, EFS (1) | 2024.09.12 |
---|---|
EC2 인스턴스 스토리지 - EBS (0) | 2024.09.12 |
[AWS] Global Infrastructure - Region, Availability Zone, Edge Locations (0) | 2024.05.09 |